안녕하세요 돈남입니다. 요즘 아프가니스탄과 탈레반 이야기가 자주 거론되는데요. 아프가니스탄과 탈레반이 이슬람권이다 보니, 이슬람 관련 용어가 자주 나오는데 그 중 하나인 할랄은 무 잇이며 할랄식품은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할랄식품이란?
할랄이란?
할랄(Halal)이란 아랍어로 '허락된것'을 의미합니다. 할랄은 이슬람 생활 전반에 걸쳐 이슬람 율법에서 사용이 허락된 것을 의미합니다. 할랄은 음식뿐만 아니라 의약품, 화장품, 생활품 등 생활 전반에서 많은 것들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중 이슬람 율법에서 허락되어 무슬림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을 할랄식품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고기의 경우 '‘다비하(Dhabihah)’에 따라 도축한 고기만 할랄식품으로 인정하며, 돼지고기를 비롯한 뱀이나 갈라지지 않은 발굽을 가지고 있는 네발짐승 등 많은 것들이 금지되고 있습니다.
다 비하(Dhabihah) 란?
다비 하란 이슬람 전통의 도축 방식으로, 정신적으로 문제가 없는 성인 무슬림이 행하게 됩니다. 도축할 때는 동물의 머리를 메카로 향하게 한 다음 기도문을 외치며 단숨에 목을 끊어 즉사시킵니다. 이슬람에서는 동물의 피를 먹는 것이 금기되어있어, 피가 다 빠질 때까지 동물을 그대로 내러려둡니다.
동물을 기절시키지 않고 단번에 즉사시키기 때문에 동물학대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또한 많은 이슬람권 이민자들이 명절 때 다 비하 방식으로 도축을 해 논란이 되기도 합니다.
하람 식품 (Haram Food)
하람 식품은 할랄이 아닌 음식 중에서 이슬람 율법에서 금지된 음식을 말합니다. 하람(Haram)이란 허락되지 않은 것 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대표적인 하람 식품은 돼지고기나 민물고기가 있습니다. 하람 식품이 아닌 비할랄식품의 섭취 여부는 이슬람 학파마다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습니다.
할랄 인증 마크
이슬람 문화권에선 공산품에 할랄 인증 마크를 붙이고 있습니다. 또한 비이슬람권에서 이슬람권으로 수출을 하기 위해선 할랄 인증마크를 받아야 합니다.인증마크를 붙이는 과정에서 위생검사또한 같이 하기때문에 할랄 인증마크는 일종의 보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이슬람 국가에선 소비자에게 신뢰를 얻기위해 공산품이면 생수에도 할랄인증마크를 붙이기도 합니다.
술은 할랄은 아니지만 취해서 정신을 잃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허용을 한 이슬람 국가가 많습니다. 반면 학파에 따라서 소독용 알코올을 몸에 바르는 것조차 금기한 곳도 있습니다. 술은 기본적으로 하람이기 때문에 할랄 인증마크가 붙지 않습니다.
할랄식품 조건
할랄식품으로 인정받기 위해선 식품의 종류뿐만 아니라 조리과정도 중요합니다. 식품 자체가 할랄이라고 할지라도, 돼지고기 등의 하람 식품이 거쳐간 식기를 사용한다면 할랄식품으로 인정받을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주요 성분은 아닐지라도 돼지에서 추출된 젤라틴 등을 사용한 과자 등 가공식품 역시 하람 식품으로 분류되어 섭취가 금지됩니다.
고기의 경우 도축과 검수를 모두 무슬림이 맡아야 하며, 식품의 가공부터 보관 등 유통 과정 전반에 걸쳐 하람 식품과의 철저한 분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