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중 6명 중 1명이 고혈압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혈압 환자와 고혈압 합병증을
가진 환자는 천만명으로,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고혈압의 가장 무서운 점은 유전적 요인이 강하다는
것인데요, 부모 한쪽이 가지고 있을 경우 50% 두 명 다 가지고 있을 경우 70% 확률로 유전될 만큼 위험합니다
고혈압 환자들은 대부분 중장년층이지만 최근에는 식습관과 환경의 변화로 젊은 층들도 결코 무시할 수 없습니다. 저희 아버지가 고혈압 환자이신데 젊은 시절 고혈압으로 고통받으셨거든요. 그래서 저 또한 유전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서 오늘은 혈압 높을 때 증상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혈압이 갑자기 높아지는 이유는?
혈압이 높아지는 이유는 본태성 고혈압과 2차성 고혈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본태성 고혈압은 환자의 90~9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본태성 고혈압의 위험인자는 비만, 운동부족, 고령, 과한 염분 섭취 등이 있습니다
2 차성 고혈압은 고혈압 환자의 5~10%를 차지하고 있으며 혈압을 오르게 하는 특정 원인(혈관 이상, 갑상선 질환, 부신질환)등이 있습니다. 원인 질환을 치료할 경우 원래의 혈압으로 돌아옵니다
혈압이 높을 때 증상은?
보통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고혈압으로 뒷목 잡고 쓰러지는 장면이 나오는데요. 사실 고혈압은 증상이 없어
침묵의 살인자(Silent Killer)라고도 불립니다. 물론 개인차가 있기에 심한 증상이 나올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고혈압이 있다 해서 두통이 오거나 뒷목이 당기거나 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혈압이 높다 해도 뚜렷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방치되어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증상 없이 혈압이 높아져
다른 합병증을 유발해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혈압을 체크해주는 관리가 필요합니다
혈압이 높으면 생기는 합병증
혈압이 높아지게 되면 혈관에 상처가 생기고 동맥경화를 악화시킵니다. 특히 뇌, 신장, 심장 등의 표적장기가
주로 손상이 됩니다. 고로 내 혈관질환, 망막혈관 파열, 만성신부전 같은 신장질환의 합병증이 생기게 됩니다
고혈압 낮추는 방법
고혈압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혈압을 정상수치로 낮추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금연, 금주, 싱겁게 먹는 노력, 운동)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식습관의 개선을 하더라도 치료가 되지 않는다면 병원의 처방에 따라 혈압약을 복용하여야 합니다
또한 혈압약 복용과 더불어 운동 및 식이요법도 같이 병행해야 합니다. 식습관의 개선이 혈압약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때문입니다.